맨위로가기

청주 곽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곽씨는 신라 헌강왕 때 시중을 지낸 곽상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곽상은 최치원과 교류하였으며, 그의 후손 곽원을 중시조로 한다. 고려 시대에는 곽원이 문과에 급제하여 중추원사를 역임하고, 곽상의 손자 곽상이 추밀원좌승선을 지냈다. 조선 시대에는 곽존중, 곽승우, 곽연성 등 주요 인물을 배출했으며, 근현대에는 곽의영, 곽노현 등 정·재계와 학계 인사가 나왔다. 청주 곽씨는 고려 시대 문과 급제자 8명,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했으며, 2015년에는 약 2만 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 곽씨 - 곽노현
    곽노현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교수,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을 거쳐 제18대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감을 지낸 대한민국의 법학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청주 곽씨 - 곽정현
    곽정현은 국민대학교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농협중앙회 참사,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원장 등을 거쳐 제11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으로 활동하며 국회 농수산위원회 및 예산결산위원회 위원, 민주정의당 국민운동본부 본부장, 새마을운동 중앙본부 초대 이사, 한국기술공업진흥회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상임의원, 세이브 더 칠드런 코리아 이사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청주 곽씨
청주 곽씨 정보
성씨청주 곽씨
관향충청북도 청주시
시조곽상(郭祥)
중시조곽원(郭元)
나라한국
인물곽상
곽여
곽예
곽린
곽지태
곽충수
곽충보
곽추
곽존중
곽승우
곽연성
곽희태
곽지흠
곽시징
곽의영
곽하신
곽윤직
곽정현
곽노현
곽수종
년도2015
인구20,713명
비고청주곽씨 대종회

2. 역사

청주 곽씨 시조 '''곽상'''(郭祥)은 신라 헌강왕 때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 최치원과 교분을 나누었다. 곽상의 후손에 대한 기록은 2대 동안 전해지지 않아, 증손인 곽원을 1세조로 한다.

곽원의 손자 곽상은 고려 선종 때 추밀원좌승선을 지냈고, 고려 숙종 때 호부상서, 서경유수, 형부상서, 상서우복야 참지정사를 역임하고 1103년에 수사공으로 치사하였다. 시호는 순현이다.[2]

곽상의 증손자 곽여는 고려 예종과 세자 시절부터 친분이 있었으며, 예부원외랑을 지내다가 사직 후 금주의 초당으로 돌아갔다. 예종은 약두산에 산재를 짓게 하고 '허정재'로 사액한 후, 산책을 나오면 들러 곽여와 함께 시를 읊으며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곽여는 '금문우객'으로 불렸다.[3]

곽원의 10세손 곽연준은 전법판서, 광정대부 판개성부윤 등을 역임하고 청원군(淸原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충헌이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신라 헌강왕 때 시중(侍中)을 지낸 '''곽상'''(郭祥)이 청주 곽씨의 시조(始祖)이다. 곽상은 문장(文章)이 뛰어나 당대의 석학(碩學) 최치원과 교분(交分)을 나누었다.[1]

곽상의 후계 2대가 실전되어 그의 증손인 '''곽원'''(郭元)을 1세조로 한다. 중시조 곽원은 청주(淸州)의 상당현(上黨縣) 출신으로, 996년(고려 성종 15)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023년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역임하고, 1025년 추성문리공신 상주국(推誠文理功臣上柱國)에 올랐으며, 1027년 참지정사가 되었다.

2. 2. 고려 시대

곽원996년(고려 성종 15) 문과에 급제하여 형부 시랑(刑部侍郞)과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를 거쳐 1023년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역임하고, 1025년 추성문리공신 상주국(推誠文理功臣上柱國)에 올랐으며, 1027년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었다.

곽원의 손자인 곽상은 고려 선종 때 추밀원좌승선(樞密院左承宣)이 되었으며 고려 숙종 즉위 후 호부상서에 제수(除授)되었고, 서경유수(西京留守)·형부상서·상서우복야 참지정사(尙書右僕射參知政事)를 역임하였으며, 1103년(숙종 8)에 수사공(守司空)으로 치사하였다. 시호는 순현(順顯)이다.[2]

곽상의 증손자 곽여는 고려 예종과 세자(世子) 때 친분으로 순복전(純福殿)에서 왕과 담론을 나누었고,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이 되었다가 사직하고 금주(金州)의 초당(草堂)으로 돌아가자 왕이 성동(城東)의 약두산(若頭山)에 산재(山齋)를 짓게 하고 <허정재(虛靜齋)>로 사액(賜額) 한 후 왕이 산책을 나오면 들러 함께 시(詩)를 읊고 즐겨 세칭 <금문우객(金門羽客)>으로 불리었다.[3]

곽원의 10세손인 곽연준(郭延俊)은 전법판서(典法判書), 광정대부(匡靖大夫) 판개성부윤(判開城府尹) 등을 역임하고 청원군(淸原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3. 주요 인물

고려 시대 곽상(수사공 역임), 곽여(예종의 사부), 곽예(문장과 서예가, 밀직사지사 역임), 조선 시대 곽존중(이조판서 역임), 곽승우(세종 때 여진족 격퇴), 곽연성(호조판서·경상감사 역임), 곽시징(연잉군(영조) 보도, 별제·이인도찰방 역임)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근현대에는 곽의영(제8대 체신부 장관, 제2·3·4대 국회의원), 곽윤직(서울대학교 법대 교수), 곽정현(제11대 국회의원, 충청향우회 총재), 곽노권(한미반도체 회장), 곽호영(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곽선기(서희건설 대표이사), 곽주영(KT&G 사장), 곽남신(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교수), 곽노현(제18대 서울시 교육감), 곽수종(조지메이슨대 송도 IGC 초빙강사), 곽재영(관악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병원장, 서울대학교 치대 교수), 곽노성(제2대 식품안전정보원 원장,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 특임교수) 등이 있다.

3. 1.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 수사공(守司空)을 지낸 곽상과 그의 아들로 예종의 스승(師傅)을 지낸 곽여, 문장과 서예가로서 밀직사지사(密直司知事)를 지낸 곽예 등이 유명하다.[1]

3.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이조판서를 지낸 곽존중, 세종 때 무장으로 여진족을 무찌른 곽승우, 호조판서·경상감사를 지낸 곽연성, 왕자사부(王子師傅)로서 연잉군(영조)을 보도(輔導)하고 후에 별제(別提)·이인도찰방(利仁道察訪)을 역임한 곽시징(郭始徵)이 유명하다.

3. 3. 근현대


  • 곽의영(1912년 ~ ) : 제8대 체신부 장관, 제2·3·4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곽윤직(1925년 ~ ) : 서울대학교 법대 교수를 역임했다.
  • 곽정현(1933년 ~ ) : 제11대 국회의원, 충청향우회 총재를 역임했다.
  • 곽노권(1938년 ~ ) : 한미반도체 회장이다.
  • 곽호영(1946년 ~ ) :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이다.
  • 곽선기(1949년 ~ ) : 서희건설 대표이사이다.
  • 곽주영(1952년 ~ ) : KT&G 사장을 역임했다.
  • 곽남신(1953년 ~ ) :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교수이다.
  • 곽노현(1954년 ~ ) : 제18대 서울시 교육감을 역임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 진보적인 교육 정책을 추진하여 교육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었다.
  • 곽수종(1962년 ~ ) : 조지메이슨대 송도 IGC 초빙강사이다. 그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경제학자로, 시장경제와 자유주의를 옹호하는 보수적인 경제관을 가지고 있다.
  • 곽재영(1965년 ~ ) : 관악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병원장, 서울대학교 치대 교수이다.
  • 곽노성(1969년 ~ ) : 제2대 식품안전정보원 원장,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 특임교수를 역임했다.

4. 과거 급제자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 8명,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하였다.[4]

고려 문과
곽린곽복곽순곽여곽예
곽원곽진곽추



고려 사마
곽충수



무과
곽만원곽수곽윤신곽종묵곽천기



문과
곽건곽만적곽성제곽열곽용백
곽용제곽존중곽지흠곽진순곽치섭
곽회영곽회준곽희태



생원시
곽공신곽만적곽성제곽수옥곽수인
곽수지곽영진곽완곽진운곽진유
곽후태



진사시
곽경종곽세적곽우곽원종곽윤근
곽임도곽정규곽지흠곽진기곽진위
곽창징곽창현곽회준곽희태



역과
곽지원



음관
곽기락곽정묵곽종묵곽치섭


5.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명)
1985년5,67024,466
2000년5,60118,218
2015년20,713



1985년에는 24,466명이었던 청주 곽씨 인구는 2000년에는 18,218명으로 감소하였으나, 2015년에는 20,713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高麗史)』 권(卷) 94, 열전 7 곽원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고려사』 권97, 열전10 곽상 https://terms.naver.[...]
[3] 웹사이트 『고려사』 권97, 열전10 곽상(郭尙) 부 곽여(郭輿) https://terms.naver.[...]
[4]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